이상 현상- 이상 현상이란, 테이블을 잘못 설계하여 삽입/삭제/수정 연산을 할때 데이터 무결성에 문제가 생기는 현상 - 정규화를 거치지 않은 테이블에서 발생할 수 있음 삽입 이상- 자료를 삽입할 때 의도하지 않은 자료까지 삽입해야 테이블에 추가가 가능한 현상- ex)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름, 나이, 학교 성적을 저장하는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신입생들은 학교 성적이 없기 때문에 테이블에 null이 들어가야 한다. 갱신 이상- 중복된 데이터 중 일부만 수정되어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ex) 한 테이블에 여러 값을 저장하면 튜플이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는데 이때 값을 한 튜플만 바꾸면 겹치는 튜플과 데이터 무결성 문제가 발생한다. 삭제 이상- 어떤 정보를 삭제하면, 의도하지 않은 정보..
랜덤 IO와 순차 IO-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계 장치의 성능은 별로 좋지 않음- 순차 IO : 디스크에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는 것- 랜덤 IO : 디스크에 랜덤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는 것- 당연히 순차 IO 성능이 훨씬 좋음 인덱스란?개념-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컬럼의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으로, 책의 목차라고 생각하면 됨- 내부적으로 컬럼 값과 레코드의 주소를 key-value 값으로 묶어놓음 동작 방식 예시- B-트리를 예시로 들면 SELECT * FROM USER WHERE ID = 2 라는 쿼리가 실행되고, ID에 인덱스가 걸려있다고 가정- 트리 구조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O(logn)으로 ID=2임을 찾고 해당 주소로 가서 값을 반환더보기추가 ..
파일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1. 파일시스템은 파일 위치를 통해서 데이터를 찾지만 데이터베이스는 쿼리문을 통해 데이터를 찾습니다.2. 파일시스템은 트렌젝션 개념이 없어서 작업의 원자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파일을 옮기다가 멈추면 파일의 일부분만 옮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는 트렌젝션 개념이 있기 때문에 원자성이 보장된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데이터베이스는 4가지 특징이 있습니다.1. 실시간 접근입니다. 수시적이고 정형화 되지 않은 쿼리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대응이 가능2. 계속적 변화입니다. 삽입(C), 갱신(U), 삭제(D)로 항상 최신 데이터 유지3. 동시 공용입니다. 서로 다른 데이터의 동시 사용 뿐만 아니라 같은 데이터의 동시 사용도 지원4. 내용에 의한 참조입니다. 데이터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