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리스트를 사용하는 문제
[문제]
점심시간이 되면 반 학생 모두가 한 줄로 줄을 서서 급식을 탄다. 그런데 매일 같이 앞자리에 앉은 학생들이 앞에 줄을 서 먼저 점심을 먹고, 뒷자리에 앉은 학생들은 뒤에 줄을 서 늦게 점심을 먹게 된다. 어떻게 하면 이러한 상황을 바꾸어 볼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 선생님이 한 가지 방법을 내 놓았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한 줄로 줄을 선 후, 첫 번째 학생부터 차례로 번호를 뽑는다. 첫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무조건 0번 번호를 받아 제일 앞에 줄을 선다. 두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0번 또는 1번 둘 중 하나의 번호를 뽑는다. 0번을 뽑으면 그 자리에 그대로 있고, 1번을 뽑으면 바로 앞의 학생 앞으로 가서 줄을 선다. 세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0, 1 또는 2 중 하나의 번호를 뽑는다. 그리고 뽑은 번호만큼 앞자리로 가서 줄을 선다. 마지막에 줄을 선 학생까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뽑은 번호만큼 앞으로 가서 줄을 서게 된다. 각자 뽑은 번호는 자신이 처음에 선 순서보다는 작은 수이다.
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줄을 서고, 첫 번째로 줄을 선 학생부터 다섯 번째로 줄을 선 학생까지 차례로 0, 1, 1, 3, 2번의 번호를 뽑았다고 하자, 첫 번째 학생부터 다섯 번째 학생까지 1부터 5로 표시하면 학생들이 줄을 선 순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 첫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1
- 두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2 1
- 세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2 3 1
- 네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4 2 3 1
- 다섯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4 2 5 3 1
따라서 최종적으로 학생들이 줄을 선 순서는 4, 2, 5, 3, 1이 된다.
줄을 선 학생들이 차례로 뽑은 번호가 주어질 때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줄을 선 순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학생의 수가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줄을 선 차례대로 학생들이 뽑은 번호가 주어진다. 학생의 수가 100 이하이고, 학생들이 뽑는 번호는 0 또는 자연수이며 학생들이 뽑은 번호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씩 있다.
[출력]
학생들이 처음에 줄을 선 순서대로 1번부터 번호를 매길 때, 첫째 줄에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줄을 선 순서를 그 번호로 출력한다. 학생 번호 사이에는 한 칸의 공백을 출력한다.
[나의 풀이] (연결리스트 이용)
#include <iostream>
#include <list>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list <int> li;
list <int>::iterator iter=li.begin(); // 출력용
int student_num;
cin>>student_num;
int pick_num;
for(int i=1; i<=student_num; i++)
{
cin>>pick_num;
list <int>::iterator temp=li.end(); // 삽입용
for(int j=0; j<pick_num; j++)
{
temp--; // 애들이 뽑은 숫자 만큼 삽입 위치가 앞으로 당겨짐
}
li.insert(temp, i); // 삽입
}
for(iter=li.begin(); iter!=li.end(); iter++)
{
cout<<*iter<<" ";
}
cout<<endl;
return 0;
}
[다른사람의 풀이] (배열 이용)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a[100];
int i, j, x;
cin >> n;
for (i = 0; i < n; i++)
{
cin >> x;
for (j = i; j > i - x; j--) //x를 뺀 만큼 for문이 실행됨
{
a[j] = a[j - 1]; // 배열 뒤에서부터 1칸씩 뒤로 땡겨서 새로운 친구가 들어갈 자리 만듬
}
a[j] = i + 1; //남은 j자리에 값 삽입
}
for (i = 0; i < n; i++)
cout << a[i] << " ";
return 0;
}
출처: https://twinparadox.tistory.com/224 [Twinparadox Factory]
해석 : a[3]을 a[2]로, a[2]를 a[1]로, a[0]을 a[1]로 땡겨서 a[0]에 새로운 녀석을 삽입 (a[j] = i+1)
'PS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158 요세푸스 문제 (0) | 2022.04.10 |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406 에디터 (0) | 2022.04.09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0799 쇠막대 (0) | 2022.04.08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874 스택수열 (0) | 2022.04.05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9012 괄호 (0) | 2022.04.02 |
연결리스트를 사용하는 문제
[문제]
점심시간이 되면 반 학생 모두가 한 줄로 줄을 서서 급식을 탄다. 그런데 매일 같이 앞자리에 앉은 학생들이 앞에 줄을 서 먼저 점심을 먹고, 뒷자리에 앉은 학생들은 뒤에 줄을 서 늦게 점심을 먹게 된다. 어떻게 하면 이러한 상황을 바꾸어 볼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 선생님이 한 가지 방법을 내 놓았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한 줄로 줄을 선 후, 첫 번째 학생부터 차례로 번호를 뽑는다. 첫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무조건 0번 번호를 받아 제일 앞에 줄을 선다. 두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0번 또는 1번 둘 중 하나의 번호를 뽑는다. 0번을 뽑으면 그 자리에 그대로 있고, 1번을 뽑으면 바로 앞의 학생 앞으로 가서 줄을 선다. 세 번째로 줄을 선 학생은 0, 1 또는 2 중 하나의 번호를 뽑는다. 그리고 뽑은 번호만큼 앞자리로 가서 줄을 선다. 마지막에 줄을 선 학생까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뽑은 번호만큼 앞으로 가서 줄을 서게 된다. 각자 뽑은 번호는 자신이 처음에 선 순서보다는 작은 수이다.
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줄을 서고, 첫 번째로 줄을 선 학생부터 다섯 번째로 줄을 선 학생까지 차례로 0, 1, 1, 3, 2번의 번호를 뽑았다고 하자, 첫 번째 학생부터 다섯 번째 학생까지 1부터 5로 표시하면 학생들이 줄을 선 순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 첫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1
- 두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2 1
- 세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2 3 1
- 네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4 2 3 1
- 다섯 번째 학생이 번호를 뽑은 후 : 4 2 5 3 1
따라서 최종적으로 학생들이 줄을 선 순서는 4, 2, 5, 3, 1이 된다.
줄을 선 학생들이 차례로 뽑은 번호가 주어질 때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줄을 선 순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학생의 수가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줄을 선 차례대로 학생들이 뽑은 번호가 주어진다. 학생의 수가 100 이하이고, 학생들이 뽑는 번호는 0 또는 자연수이며 학생들이 뽑은 번호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씩 있다.
[출력]
학생들이 처음에 줄을 선 순서대로 1번부터 번호를 매길 때, 첫째 줄에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줄을 선 순서를 그 번호로 출력한다. 학생 번호 사이에는 한 칸의 공백을 출력한다.
[나의 풀이] (연결리스트 이용)
#include <iostream>
#include <list>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list <int> li;
list <int>::iterator iter=li.begin(); // 출력용
int student_num;
cin>>student_num;
int pick_num;
for(int i=1; i<=student_num; i++)
{
cin>>pick_num;
list <int>::iterator temp=li.end(); // 삽입용
for(int j=0; j<pick_num; j++)
{
temp--; // 애들이 뽑은 숫자 만큼 삽입 위치가 앞으로 당겨짐
}
li.insert(temp, i); // 삽입
}
for(iter=li.begin(); iter!=li.end(); iter++)
{
cout<<*iter<<" ";
}
cout<<endl;
return 0;
}
[다른사람의 풀이] (배열 이용)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a[100];
int i, j, x;
cin >> n;
for (i = 0; i < n; i++)
{
cin >> x;
for (j = i; j > i - x; j--) //x를 뺀 만큼 for문이 실행됨
{
a[j] = a[j - 1]; // 배열 뒤에서부터 1칸씩 뒤로 땡겨서 새로운 친구가 들어갈 자리 만듬
}
a[j] = i + 1; //남은 j자리에 값 삽입
}
for (i = 0; i < n; i++)
cout << a[i] << " ";
return 0;
}
출처: https://twinparadox.tistory.com/224 [Twinparadox Factory]
해석 : a[3]을 a[2]로, a[2]를 a[1]로, a[0]을 a[1]로 땡겨서 a[0]에 새로운 녀석을 삽입 (a[j] = i+1)
'PS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158 요세푸스 문제 (0) | 2022.04.10 |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406 에디터 (0) | 2022.04.09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0799 쇠막대 (0) | 2022.04.08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1874 스택수열 (0) | 2022.04.05 |
[자료구조] 백준 문제 풀이 - 9012 괄호 (0) | 2022.04.02 |